관리 메뉴

솔트펀 티스토리

GitHub 본문

DEVELOPMENT/Git&GitHub

GitHub

SALTFUN 2020. 2. 1. 03:56

https://www.opentutorials.org/course/307/2475

1. INTRO
2. 서비스 구성(홈페이지)
3. 서비스 구성(저장소)
4. 가입과 저장소 생성
5. 로컬 저장소
6. 이슈
7. GitHub Page

 

1. INTRO

여기서 소개하는 내용들을 2012년에 만들어진 컨텐츠에 대한 것이다.

버전관리 시스템이란?

문서나 코드의 변경사항을 저장해서 과거의 상태를 열람, 복원 할 수 있도록 한다. 또 협업시에 협업자들의 변경사항을 자동으로 붙여주고, 충돌을 방지한다. 버전관리시스템은 처음에는 조금 까다로울 수 있지만 나중에는 버전관리시스템이 없이는 프로젝트를 불안해서 할 수가 없을 정도가 될 정도로 유용하게 쓰인다. 

버전관리시스템에는 GIT, Subversion, Mercurial 과 같은 제품들이 있는데 GIT은 분산형 버전관리시스템으로서 가장 성공적인 버전관리시스템이고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 전까지는 Subversion 이 많이 쓰였으나 GIT이나 Mercurial과 같은 분산형버전관리시스템으로 대세가 이동하였다.

 

Git이란?

버전관리 시스템의 제품 중의 하나로, 분산형 버전관리 시스템으로 분류된다.

GitHub란?

GitHub에 대해 알기 위해 Git에 대한 지식이 꼭 필수인 것은 아니다. GitHub은 버전관리를 위한 솔루션이기도 하지만 여러 가지 프로젝트들을 배포하는 역할도 하기 때문에 버전관리시스템에 참여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GitHub사이트의 사용법에 대해 알면 도움이 되기 때문에 버전관리와 상관없이 GitHub에 대해 알아 볼 수 있다.  

 

  • http://github.com
  • 버전관리 시스템인 Git을 이용하는 프로젝트들을 위한 원격저장소를 제공하는 서비스
  • 오픈소스는 무료, 비공개 프로젝트는 유료 정책
  • 저장소 크기의 제한이 없다.
  • 로컬 버전관리 시스템이 없이도 많은 작업을 웹상에서 할 수 있다.
  • 사람 중심의 서비스 구성이기 때문에 특정 저장소에 접근하려면 '아이디/저장소명'으로 해야 한다.

버전들의 변경점들이 저장소에 쌓이게 된다.  자신의 컴퓨터 안에도 기본적으로 저장소가 있지만 컴퓨터 안에 있는 것을 github이라는 서비스로 업로드하면 원격저장소가 된다. 이게 좋은 점은 내 컴퓨터의 데이터가 날아가도 원격저장소에는 파일이나 문서들이 남았기 때문에 안전하다는 거다. 또 여러 사람이 작업하는 경우에는 여러 사람이 공통으로 접근할 수 있는 중간 지점에 원격저장소를 마련해놓고 협업을 할 수 있다. 

저장소 크기의 제한이 없고 1개 파일은 1G까지 인데 최신정책은 확인해야 할 것이다. 

참고

TOP


2. 서비스 구성(홈페이지)

News Feed: 구독하고 있는 저장소[프로젝트] 의 변경점들을 보여준다.

Your actions: GitHub 안에서 했던 행위들

Pull Requests: 다른 사람의 내 코드를 가져다 수정한 후 다시 되돌려줄 때의 요청

Issues: 각각의 저장소는 여러 가지 issue가 있을 수 있다. 버그가 생겼거나 개선사항이 나타났을 경우 올라오게 되는 각각의 리포트들을 issue라고 한다. 또한 저장소마다 issue를 달 수 있는데 홈페이지의 issue라고 하는 것은 여러 가지 구분되어 있는 issue들을 한 곳에 모아 보여주는 것이다. 

개인계정과 단체계정도 있다. 단체에 소속되어 있으면 단체의 이름으로 저장소를 만든다거나 등의 작업이 가능하다. 아마도 카페와 같은 개념으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내가 만든 카페 정도? New organization을 클릭하면 각기 다른 가격정책이 나온다. 

Fig 1. 단체는 오른쪽상단 + 를 클릭하여 만듦

 

Explore : GitHub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저장소[프로젝트]들을 찾을 수 있다. 

Trending: GitHub에서 인기있는 프로젝트들을 찾을 수 있다.

Fig 2. 언어별 컨텐츠

gist: 간단한 스크립트나 몇 개 안되는 파일의 경우 매 번 저장소를 만드는 것은 귀찮은 일이다. 이때 gist에 그냥 설명적고, script 입력하고 저장하면 web 상에서 바로 저장관리가 되면서 그 코드 or 문서를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공유한 파일들은 github 내부적으로는 git에 저장소로 저장되기 때문에 정식으로 이것을 로컬컴퓨터에 클로닝하여 작업을 한 후 등록할 수도 있다.

저장소를 커밋하기 위해서는 인증을 해야 하는데 인증과 관련된 정보는 자신의 프로파일 편집에서 SSH and GPG keys 를 얻을 수 있다. 

 

TOP

3. 서비스 구성(저장소)

프로젝트가 저장소에 보관되기 때문에 프로젝트나 저장소는 같은 의미로 볼 수도 있겠다. 저장소는 파일들의 변경점들이 실제로 저장되는 공간이다. 이 저장소를 git에서 web을 통해 제어하는 방법을 살펴보자.

github.com 의 검색창에 githe-hell 이라고 검색해보자. gith-hell은 egoing의 저장소 이름이다.

Fig 3. 홈의 검색창에서 프로젝트 검색
Fig 4. egoing/githe-hell 외에도 여러 개가 있음

이제 위 그림의 egoing/GIthe-Hell을 클릭하면 해당 저장소로 이동한다.

Fig 5. 프로젝트명이 github.com 뒤에 바로 오는 것이 아니라 /egoing 뒤에 온다.

url을 보면 github은 사람 중심이기 때문에 사용자id 뒤에 프로젝트명이 온다. git에서 사용하는 여러 가지 프로젝트들이 모두 forking을 통해 복제될 수 있기 때문이다. 

Fig 6. 복제나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git프로그램이 없이도 다운로드하여 파일들을 그대로 볼 수 있다.
Fig 6-1. github의 url

git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로컬에서 작업하거나 동기화하려고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URL의 종류가 HTTPS, SSH의 2 가지가 있으며 약간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권한에 따라 프로젝트를 수정할 수도 있고 그냥 다운받아 사용만 할 수도 있다.

branch: 버전관리시스템에서 필요한 경우 저장소를 분기하는 것.

가지 Branch가 여러 개인 경우 Branch master를 이용하여 다른 Branch와 Tag를 탐색할 수 있다. 

저장소파일 중 README.md 는 저장소를 설명하는 내용을 담은 파일이다. github에서 저장소를 만들 때 처음부터 README.md를 만들 수 있게 하는 옵션이 있다.

 최초 시작부터 어떤 변경들이 일어났는지 볼 수 있다. 매 변경 점들에서 어떤 내용이 변경[내용의 추가 삭제 수정, 파일의 추가 삭제 수정 등] 되었는 확인할 수 있다.

commit이 2020.2.1 현재 19,291회가 되는 twbs/bootstrap 저장소를 한 번 보자. 

Fork 는 그대로 자신의 저장소로 복제한다. 단 몇 초밖에 안 걸린다.

다른 저장소를 Fork 를 사용하여 그대로 자기 것으로 만들 수 있다. 원래 프로젝트의 내용은 권한을 부여받아야 수정이 가능하지만 자신에게 복제해온 후 어떻게 변경시켜 사용하든 상관없다.

Pull Requests 는 복제 후 수정을 하고 그것을 원 프로젝트에 반영할지 고려해달라는 요청으로 볼 수 있다. 원 프로젝트의 소유자는 해당 변경내용을 검토확인하고 반영 또는 무시할 수가 있다. 좀 중요하기 때문에 이 부분은 다시 살펴보는 시간을 가질 것이다.

Issuses : 프로젝트를 하다보면 여러 가지 이슈가 발생한다. 버그가 생긴다든지, 개선사항이 있다든지, 요건이 바뀐다든지 등, 이때 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을 할 채널 [게시판 등] 이 필요한데 그런 역할을 하는 것이 issues 이다. New Issue를 클릭하여 새로운 issue를 발행할 수 있다. 

Insights/Fork. 이 저장소를 복제 Fork 한 사람들의 리스트
Insights/Network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리스트와 그들의 활동 확인
Insights/Contributors  참여자들의 활동 상황
Insights/Commits   얼마나 자주 commit 이 발생하는지를 보여줌
Insights/Code frequency   코드의 수정•삭제 빈도에 관한 내용 
Watch
Watching 을 체크하면 Watch -> Unwatch로 됨

관심있는 저장소에 Watching을 체크해놓으면 Watching 체크된 저장소들을 쉽게 찾을 수 있고 여기서 일어나는 변화들에 대해 통보받을 수 있다.  팔로우/언팔로우 기능과 비슷하다.

Fork 는 해당 프로젝트를 자신의 저장소로 복제한다. 그 과정에 어떤 동의나 허가도 필요없다. 

github은 오픈소스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어떤 프로젝트를 복제할 때 그 어떤 동의나 허가도 필요없다. 물론 본인이 github을 이용하여 진행하는 프로젝트도 완전 오픈인 것은 당연하다.

github은 해당 프로젝트를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watching [관심을 갖고 있나] 하고 있는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Fork [복제] 를 해갔는지에 따라 프로젝트의 성공과 평판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인 세계에서는 누군가가 자신의 컨텐츠를 베껴가면 매우 큰 저항과 반감이 따르지만 여기 오픈프로젝트에서는 내 것을 더 많이 베껴갈수록 성공한 프로젝트가 되는 것이다.

Wiki

Wiki는 일반적인 프로젝트 관리 도구에는 항상 따라다니는 기능인데,  프로젝트를 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이나 프로젝트를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식들, 예를 들어 매뉴얼 같은 것들을 저장하는 체계로 제공되는 기능이다. 

 

 

 

 

TOP

4. 가입과 저장소 생성

github.com/pricing  or  github.com/plans   github의 가격정책

 

TOP

5. 로컬 저장소

github은 원격저장소, 작업을 진행하는 자신의 컴퓨터는 로컬 저장소

자신의 컴퓨터에서 코딩, 문서작업을 하고 버전관리를 하다가 원격저장소로 업로드를 하게 되면 원격저장소는 누구나 접속할 수 있는 github 등의 웹상에 존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동료들과 협업하거나 해당 프로젝트를 불특정 다수에게 유통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것이 원격 저장소와 로컬 저장소의 차이이고 관계이다.

자신의 컴퓨터에 git 클라이언트를 설치한다. (https://git-scm.com)  

설치는 https://coding-factory.tistory.com/245 을 참조할 것.

file:///C:/Program%20Files/Git/ReleaseNotes.html

원하는 폴더/우클릭/Git Bash Here  로 git Client 열기

이렇게 설치가 끝나면 버전관리를 할 수 있는 준비가 끝난다. 

그리고 자신의 github 저장소의 url을 복사한 후 git bash를 실행하고 git clone gitURL 명령을 실행한다.

이렇게 하여 원격저장소의 내용을 로컬저장소에 동기화•복제한다. 

smallMP4 프로젝트 시작화면. Win+Alt+R 에 의한 Game Bar 화면영상저장 기능으로 저장한 화면은 용량이 매우 큰 mp4 파일인데 상당비율로 사이즈가 작은 같은 mp4 파일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

그러면 내 컴퓨터 안에 동기화된 디렉토리가 생성된다.

그리고 여기에 index.html을 만들고 git commit -am "버전설명" 을 실행하면 수정된 내용이 새로운 버전으로 저장되게 된다. 최초 commit을 하게 되면 반드시 해야 할 작업이 있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Your name"
git config --global user.email "you@example.com"

이제 변경된 내용을 원격저장소로 보내보자. git push origin master 를 실행시킨다. origin은 원격저장소를 의미한다.

그런면 github.com 의 Username 과 password 를 입력한다.

여기서 git commit -am "버전설명"  이 명령은 -am 옵션을 쓰고 있지만 index.html 파일을 처음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index.html 생성내용이 새로운 버전에 반영되지 않는다. 한 번은 반드시 git add를 하여 Staging Area 에 추가해줘야 한다.

버전 변경이 commit 된 결과 github 저장소에 작업한 파일 올라가 있다

 

TOP

6. 이슈

github issues 소개 

Issue는 보통 issue tracker라고 부르는데 게시판이라고 볼 수 있다. 다른 점이라면 업무를 위한 또는 협업을 위한 게시판이라는 것이다. 

게시판으로 업무 협업을 진행해보았다면 여러 가지 난장판 같은 상황들을 겪게 될 수 있는데 issue를 이용하면 그런 상황들을 아주 세련되게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게시판에서 글을 새로 추가 하는 것과 같은 기능이 New issue 버튼이다.

이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운 issue를 발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런 식이다.

Submit 하면 작성한 issue가 발행된다
관련자들이 issue를 볼 수 있게 되었다
issue를 해결한 다음에 클릭해 들어가 Close issue를 하면 issue가 해결된 것으로 된다

issue를 해결한 후에 Close issue를 하고 나면 Closing 된 issue는 사라지게 된다. 물론 설정에 따라 그냥 보이게 할 수도 있다.

 

github issues 담당자 지정과 이슈의 상태 지정

이미 닫긴 issue를 다시 열어야 할 상황이 발생한다면? 그런 경우에는 닫긴 issue를 선택하여 Reopen issue를 실행한다.

issue가 Open을 보여줄 때와 Closed를 보여 줄 때 Filters의 내용이 다르다

Assignee에 대한 내용도 꽤 중요하다. 협업 프로젝트를 할 때 발생한 이슈에 대한 작업을 누군가에게 요청해야 할 수 있는데 게시판에서는 그런 기능이 없기 때문에 매우 까다롭다. Assignee를 클릭하면 현재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협업자의 목록이 뜬다. 그리고 작업을 할당(assign)할 대상을 찾아 열린 이슈를 부여하면 된다. 그러면 작업을 할당받은 협업자는 발생한 issue가 자신에게 할당이 되었다는 통보를 받게 된다. 

어떤 업무가 있을 때 그 업무는 몇 가지의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bug 라든지, enhancement 기능개선이라든지, 또는 issue가 뭔지 재현이 되지 않는 invalid 라든지 [유효하지 않은 issue], 이슈를 처리하고 싶지 않다든지 [wontfix], 이슈가 중복되고 있다든지 [duplicate], 등등 적절한 라벨을 적용할 수 있다.

프로젝트가 복잡해지면 Label 기능을 아주 유용하게 쓸 수 있다

 

github issues 필터와 상태

필터기능과 상태를 결합하면 매우 큰 효용을 발휘한다.

Filters의 내용에 따라 여러 가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github issues 참조 reference 기능 

이슈들을 아주 손쉽게 관련된 다른 것들과 링크를 걸 수 있다. 이슈를 발행하면서 내용을 쓸 때, @하면 프로젝트 참여자들이 뜬다. @egoing은 user name이 egoing 인 프로젝트 참여자 이다. 그러면 @egoing에는 링크가 생성되면서 클릭하면 해당 사용자에게로 넘어간다. 이렇게 어떤 참여자가 언급되어 있는 이슈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Filters가 적용된다.

mentions:egoing2  자신이 언급되어 있는 이슈

또한 내용을 쓸 때 #을 누르면 다른 이슈들의 목록이 뜬다. 선택하면 해당 이슈의 번호가 입력되어 #5 와 같이 되고 역시 해당 이슈와 연결해주는 링크도 생성된다.

또한 이슈를 발행할 때 commit HASHcode를 복사해서 입력하면 역시 해당 commit에로의 링크가 생성되면서 그 코드로 쉽게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github issues 템플릿 기능

이슈를 발행할 때 그 형식을 지정할 수 있다. New issue 버튼을 누르면 내용을 적는 곳에 빈 편집창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있어야 할 내용들이 미리 들어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Markdown 문법을 사용할 수 있다.

참여자들이 이슈를 발행할 때 어떤 형식을 사용하도록 유도하고 싶다면 템플릿 기능을 사용하면 된다.

검색어: github issues template 

구글링
이 방법으로 issue template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음

이렇게 issue template 을 만들거나 설정하고 나면 새로운 디렉토리가 생성된다.

템플릿 파일의 확장자는 .md 즉 Markdown 파일이다.  한글명은 나타나지 않으니 가급적 영어로 템플릿의 이름을 달도록 하자

템플릿의 이름을 한글로 하였더니 ----.md 라고 한글을 인식하지 못한다.
검색어: repository change file name

이름을 needs.md로 고쳐주기 위해서는 오른쪽 상단에 뜨는 연필 아이콘을 클릭해 편집상태로 들어가고 이때 이름을 변경한 후 commit 하면 된다.

파일명 변경.  파일을 선택한 후 우측 상단의 연필아이콘을 클릭해 편집상태로 들어간다
이름을 편집하고 commit 하면 파일명 변경 완료

github repository에서 생성한 파일을 로컬저장소에 가져오기 위해 git pull 명령을 쓴다.
검색어: github 원격저장소 변경내용 로컬에 반영
https://fsd-jinss.tistory.com/41 참고 

 

TOP

7. GitHub Page

https://opentutorials.org/module/2398/16117

github 서비스를 이용하면 html, css, javascript등을 이용해서 웹사이트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또 도메인을 붙일수도 있습니다.

사용기술

주요개념

여기서는 git을 이용한 간단한 버전관리부터, github를 이용한 소스코드 공유, github를 이용해서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방법, freenom을 이용해서 도메인을 구입하는 방법, 도메인을 github에 붙여서 나만의 도메인으로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GitHub 서비스(github.com) 를 이용하여 HTML, CSS, JavaScript 로 만들어진 웹사이트를 인터넷에 올려서 서비스 하는 방법을 살펴보자.
github 에 저장한 소스코드는 웹사이트처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넷에, 웹에 publishing 할 수 있다는 얘기다.

자신의 개성을 나타내기 위해 탐내는 것 중 하나가 Domain인데, github에서 만든 사이트를 제공할 때 사이트주소에는 github이 붙어있다. domain은 1년에 몇 만원씩 지불하고 구매하여야 하는데 freenom 이라는 사이트를 이용하면 무료로 구매할 수 있는 도메인도 있기는 하다.

주로 사용하는 .com, .org 등은 유료이지만 .tk, .ga, .cf 등은 1년간 무료사용이 가능하다

이렇게 도메인을 구입한 후 그 도메인을 github에 붙이면 사람들은 그 도메인을 통해 github에 만들어진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자신이 디자이너이거나 자신의 만든 정보를 웹상에서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싶다면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도 할 수 있다. 버전관리, 웹사이트 운영, 도메인을 붙이는 작업 등 적지 않은 내용을 다룰 것이다.  

 

git을 이용한 버전관리 

github Desktop 을 설치하여 git 클라이언트로 사용해보자.

github Desktop 을 검색하여 Download & Install 한다.

github의 저장소 repository 하나하나는 웹사이트라고 볼 수 있다. 

Create: 새로운 프로젝트[혹은 저장소, repository] 시작 [추가]
Add: 이미 진행 중인 프로젝트를 현 시점부터 버전관리를 한다.

아래의 언어•환경 들에 대해서는 Git Inore를 자동으로 생성해준다. 

Actionscript
Ada
Agda
Android
AppEngine
AppceleratorTitanium
ArchLinuxPackages
Autotools
C++
C
CFWheels
CMake
CUDA
CakePHP
ChefCookbook
Clojure
CodeIgniter
CommonLisp
Composer
Concrete5
Coq
CraftCMS
D
DM
Dart
Delphi
Drupal
EpiServer
Eagle
Elisp
Elixir
Elm
Erlang
ExpressionEngine
ExtJs
Fancy
Finale
ForceDotCom
Fortran
FuelPHP
GWT
Gcov
GitBook
Go
Godot
Gradle
Grails
Haskell
IGORPro
Idris
JBoss
JENKINS_HOME
Java
Jekyll
Joomla
Julia
KiCad
Kohana
Kotlin
LabVIEW
Laravel
Leiningen
LemonStand
Lilypond
Lithium
Lua
Magento
Maven
Mercury
MetaProgrammingSystem
Nanoc
Nim
Node
OCaml
Objective-C
Opa
OpenCart
OracleForms
Packer
Perl
Perl6
Phalcon
PlayFramework
Plone
Prestashop
Precessing
PureScript
Python
Qooxdoo
Qt
R
ROS
Rails
RhodesRhomobile
Ruby
Rust
RCons
Sass
Scala
Scheme
Scrivener
Sdcc
SeamGen
SketchUP
Smalltalk
Stella
SugarCRM
Swift
Symfony
SymphonyCMS
TeX
Terraform
Textpattern
TurboGears2
Typo3
Umbraco
Unity
UnrealEngine
VVVV
VisualStudio
Waf
WordPress
Xojo
Yeoman
Yii
ZendFramework
Zephir

또한 라이센스는 다음의 라이센스를 적용할 수 있다.

MIT License
GNU GPLv3
Apache License 2.0

BSD 2-Clause "Simplified" License
BSD 3-Clause "New" or "Revised" License
Eclipse Public License 2.0
GNU AGPLv3
GNU GPLv2
GNU LGPLv2.1
GNU LGPLv3
Mozilla Public License 2.0
The Unlicense

어떤 디렉토리를 프로젝트 [repository 저장소] 로 지정하게 되면 이 디렉토리 안에 .git 이라는 hidden 폴더가 생성되고 여기에 버전관리 내용 즉 변경사항들이 저장된다. 따라서 삭제되지 않도록 신중히 관리하도록.

첫 파일 index.html을 만들고 버전을 생성한다.

 

 github.com으로 소스 공유

github의 저장소에 업로드하면 만일의 경우 로컬저장소의 내용이 유실되더라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도 있고, 여러 사람이 함께 수정하고 합치고 하는 작업을 할 수도 있다.

먼저 github 계정에 repository를 하나 생성하고, 그 원격저장소에 로컬저장소에서 작업한 파일들을 업로드한다.  그렇게 되면 여러 가지 효과를 얻게 되는데, 백업, 공유, 협업 등이다.

 생성한 원격저장소를 로컬저장소와 연결하기 위해 HTTPS url을 복사한다. 사실 현재의 버전에서는 불필요하다. 메뉴에서 Repository/rRepository Setting/Publish 하면 원격저장소가 자동으로 생성되고, 생성된 후에는 Repository/Repository Setting에서 수정이 가능하다.

 

github  page 기능을 이용한 웹사이트 운영

Settings 탭을 열고 현재 repository의 상태가 private이면 유료인데, 무료를 원한다면 public으로 상태를 전환해야 한다.
페이지의 하단에 Danger Zone 이있고 repository를 삭제하거나 public으로 바꾸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프로젝트가 private 이면 GitHub Pages 에서 Pro 계정[유료]전환 혹은 public 으로 상태 전환을 요구한다

master branch를 선택하면 링크가 생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같은 폴더에 style.css 파일을 작성하고, index.html 에서 style.css와 연결하는 부분을 수정한 후에 업로드 하면 [push 함] 사이트에 반영이 된다.

style.css의 내용
반영되기까지 시간이 좀 걸린다

매우 편리하고 강력한 방법이다. 웹사이트를 만들려는 목적에서 쓸 수도 있겠지만, 만일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하고 있고, 이 프로젝트에 대한 사용설명서 페이지를 보여주고 싶다고 하면 한 번 Bootstrap 페이지를 보라. https://getbootstrap.com/

굉장히 유명한 오픈소스 사이트인 Bootstrap 은 github을 통해 서비스되고 있는 동시에, 해당 저장소에 이 프로젝트의 소스코드도 있고, 이 프로젝트에 대한 설명까지도 함께 할 수 있다. 

 

도메인 적용하기 (freenom.com)

원래 도메인은 1년에 몇 만원 하는데 freenom에서 1년간 무료로 쓸 수 있다.

또한 도메인은 사용기간이 있기 때문에 캘린더에 체크해두고 관리하는 것이 좋다. 큰 회사들도 만료기한을 잊어버려 고초를 겪는 경우가 있으니 말이다. 

위 그림에서와 같이 구매한 도메인을 설정하고 저장을 하게 되면 github.com에서 저 도메인에 대한 요청에 대해 이 프로젝트를 연결시켜주도록 설정을 하였다.

이 설정과 함께, 인터넷사용자가 저 주소를 입력하면 github.com을 찾아오도록 하는 설정도 해주어야 한다.  그 설정을 위해 Learn more 를 클릭하여 정보를 더 봐야 한다.

 

 

 

 

참고

github을 이용해서 자신의 포트폴리오를 운영중인 신동주님의 멋진 사이트입니다. 

Mopsy

 

TOP

'DEVELOPMENT > Git&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CLI - 버전관리  (0) 2020.01.31
GIT  (0) 2020.01.31
Comments